[제사(차례)음식의 의미]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대
추 (棗) |
|
|
|
|
|
|
|
|
|
대추나무는
암수가 한 몸이고, 한 나무에 열매가 엄청나게 많이 열리는데 |
|
|
꽃
하나에 반드시 열매가 맺히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. 헛꽃은 절대로 없다. |
|
|
즉,
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. |
|
|
대추는
통씨여서 절개를 뜻하고 순수한 혈통과 자손[후손]의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대추는
붉은 색으로 임금님의 용포를 상징하고 씨가 하나이고 열매에 비해 |
|
|
그
씨가 큰 것이 특징이므로 왕을 뜻한다. |
|
|
|
|
|
|
왕이나
성현이 될 후손이 나오기를 기대하는 의미와 |
|
|
|
|
죽은
혼백을 왕처럼 귀히 모신다는 자손들의 정성을 담고 있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대 추 |
|
|
|
|
|
|
|
|
|
|
왕이
될만한 후손이 나오라는 뜻이다. |
|
|
|
|
|
|
|
대추가
지니고 있는 깊은 의미를 아는 집안은 ("왕" "도인" "성현")이 나올 수 있다. |
|
|
대추는
태양이 속해있는 대 은하계 모형을 나타낸 것이므로 진설상에 있어서 으뜸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밤 (栗) |
|
|
|
|
|
|
|
|
|
|
밤나무는
땅 속에 밤톨이 씨 밤[생밤]인 채로 달려 있다가 |
|
|
|
|
밤의
열매가 열리고 난 후에 씨 밤이 썩는다. |
|
|
|
|
|
그래서
밤은 자신의 근본을 잊지 말라는 것과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|
|
|
연결을
상징한다. |
|
|
|
|
|
|
|
|
이런
이유로 밤나무로 된 위패를 모신다. 유아가 성장할수록 부모는 |
|
|
밤의
가시처럼 차츰 억세었다가 "이제는 품안에서 나가 살 아라"하며 |
|
|
밤송이처럼
쩍 벌려주어 독립된 생활을 시킨다는 것이다. |
|
|
|
|
밤은
한 송이에 씨알이 세 톨이니 3정승(영의정, 좌의정, 우의정)을 |
|
|
|
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밤 |
|
|
|
|
|
|
|
|
|
|
밤은
三 정승이 나오라는 의미이다. 그래서 밤은 3알이 한 밤송이가 된다. 가운데 있는 밤은 "영의정" |
오른쪽에
있는 밤은 "우의정" 좌측에 있는 밤은 "좌의정" 이라는 의미가 되며 밤송이 1개(1석)속에 |
|
3톨(3극)에는
각기 특유의 기질을 가지는 5기가 들어 있으며 바로 그 五 氣는 인간의 성질을 나타낸다. |
|
|
|
|
|
|
|
|
|
|
|
첫
째: 가시는 내유 외강의 성질(추진력) |
|
|
|
|
|
|
둘
째: 껍질은 단단하고 강한 기질(방어력) |
|
|
|
|
|
|
세
째: 껍질 속의 털은 포근함을 나타낸다.(보호력) |
|
|
|
|
|
네
째: 속 껍질의 떫은맛은 인생살이의 떫은 맛(인내력) |
|
|
|
|
|
다섯째:
속 알의 고소한 맛은 깨달음의 참 맛을 나타낸다. |
|
|
|
|
|
(중화,깨달음)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감
(枾) |
|
|
|
|
|
|
|
|
|
콩
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이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인데 감만은 |
|
|
그렇지
않다. |
|
|
|
|
|
|
|
|
|
감의
씨앗을 심으면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. |
|
|
그래서
3~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를 잘라서 이 고욤나무에 접을 |
|
|
붙여야
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. |
|
|
|
|
|
|
감나무가
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해서 다 사람이 아니라 |
|
|
가르치고
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가르침을
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 처럼 아픔이 |
|
|
따른다
의미가 부여 되는 것이다. |
|
|
|
|
|
|
|
그
아픔을 겪으며 선인의 예지를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|
|
|
있다는
것이다. |
|
|
|
|
|
|
|
|
|
감나무는
아무리 커도 열매가 한 번도 열리지 않은 나무를 꺾어 보면 |
|
|
속에
검은 신이 없고, 감이 열린 나무는 검은 신이 있다. |
|
|
|
|
이것을
두고 부모가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 만큼 속이 상하였다 하여 |
|
|
부모를
생각하여 놓는다고 한다. |
|
|
|
|
|
|
|
감은
씨가 8개여서 8방백 <8도 관찰사, 8도 감사>를 뜻한다. |
|
|
|
8도
관찰사가 후손에서 나오라는 의미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감 |
|
|
|
|
|
|
|
|
|
|
감은
씨가 6개로 六조 판서의 서열을 의미한다. |
|
|
|
|
|
|
집안에
육조판서 감이 나오는 정도를 점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씨가 6개인 것은 |
|
|
천부경의六생
七 八 九운의 육감세계를 나타낸 것으로 우리 몸의 물리적 몸의 작용 |
|
|
즉
오감세계를 벗어난 영적인 의미를 말한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배 (梨) |
|
|
|
|
|
|
|
|
|
|
배는
껍질이 누렇기 때문에 황인종을 뜻하고, |
|
|
|
|
|
오행에서
황색은 우주의 중심을 나타낸다. |
|
|
|
|
|
흙의
성분(土)인 것이다. |
|
|
|
|
|
|
|
|
이것은
바로 민족의 긍지를 나타낸다. |
|
|
|
|
|
|
배의
속살이 하얀 것으로 우리의 백의민족에 |
|
|
|
|
|
빗대어
순수함과 밝음을 나타내 제물로 쓰인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배는
씨가 6개여서 육조 |
|
|
|
|
|
|
|
|
(이조
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)의 판서를 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배 |
|
|
|
|
|
|
|
|
|
|
배는
색깔이 황금색으로 깨달음 집안의 정신적인 성장정도를 알아보는 측도이다. |
|
|
배는
수분이 많으며 이 수분은 지혜를 의미한다. |
|
|
|
|
|
|
지혜로운
삶을 살아서 깨달음의 정신으로 가라는 뜻으로 황금색은 깨달음의 색 |
|
|
|
오행의
土에 해당하고 숫자로는 5,10, 土, 중앙, 중용, 완성의 뜻이 있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사 과 |
|
|
|
|
|
|
|
|
|
|
사과는
자비, 사랑을 뜻하며 모양이 하트형으로 "사랑"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 집안의 화목과 |
|
사랑의
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. |
|
|
|
|
|
사과의
모양은 우주의 五기가 생성되어 돌아가는 모형이며 |
|
|
|
|
|
사랑하는
마음(+플러스) 발상 등이 영적 성장을 하는 의미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이상과
같이 제사상의 주된 과일로 대추, 밤, 배, 감이 오르는 것은 |
|
|
|
이들이
상서로움, 희망, 위엄, 벼슬을 나타내는 전통적 과일이기 때문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호 두 |
|
|
|
|
|
|
|
|
|
|
우리의
뇌를 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|
호두는
지혜가 발달되고 영특하며 뛰어난 자손이 되라는 의미이다. |
|
|
|
|
머리가
영특해야 깨달음에 이르고 깨달음에 밝아야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다 식 |
|
|
|
|
|
|
|
|
|
|
다식은
우주의 五 行을 의미하고 그 다식의 문양은 五 氣의 작용을 도식화 시킨 것으로 |
|
|
가정의
가족간 합심. 이별, 파괴, 결합, 재물, 후손의 출산 등을 의미하고 이것이 작용하는 의미를 알아 보고자 |
꿀물에
재료를 버무려 가지고 다식을 찍는데 그때 잘 만들어 지는 것과 부서지는 것을 가지고 |
|
한해동안
집안의 운세를 점치는데 사용하게 했던 것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은 행 |
|
|
|
|
|
|
|
|
|
|
은행은
비행접시 우주선을 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앞에서
말한 대로 머리가 영특하고 지혜로우면 그들이 과학을 발달 시키게 되고 과학의 발전으로 |
|
우주세계를
향해 나아가게 된다는 인류(지구)역사를 알려 주고자 했던 성현들의 가르침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포 도 |
|
|
|
|
|
|
|
|
|
|
조직을
의미한다. 한송이에 많은 열매 등이 달려 있어서 이것은 조직을 뜻한다. |
|
|
|
집단,
조직, 국가,등을 의미하며 이런 문화를 알리기 위해서는 정비가 잘된 많은 조직들이 있어야 된다. |
(각
과일들도 각기 뜻이 있다.)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시금치 |
|
|
|
|
|
|
|
|
|
|
시금치는
道 를 구하는 마음을 지금 이 시간부터 주저하지 말고 행하라는 의미 입니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도라지 |
|
|
|
|
|
|
|
|
|
|
도(道)를
알아라는 뜻이다. |
|
|
|
|
|
|
|
|
도를
알지 -> 돌아지 -> 도라지道(도,도) 我(나,아) 知(알,지) |
|
|
|
|
|
(나를
알아가는 도를 말함) |
|
|
|
|
|
|
|
|
고사리가
일이라면 도라지는 일의 목적을 나타낸다. |
|
|
|
|
|
도를
알지 운동이다. (도를 알지=나를 알아가는 도)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콩나물 |
|
|
|
|
|
|
|
|
|
|
콩은
깨달음을 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|
한알의
콩속에 두쪽으로 되어 있는 것은 도에는 음과 양이 있다는 뜻이고 이 콩에서 발이 나온 것은 |
도를
펼쳐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콩나물에 잔발이 많이 달리면 道를 구하는 일심에서 |
|
다른
마음을 먹으면 안된다는 의미에서 콩나물에 잔발을 다듬어 주는 것이며 또한 콩나물에서 |
|
콩껍질을
벋기는 이유는 도의 본체가 어떻게 되어 있나를 살펴보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고사리 |
|
|
|
|
|
|
|
|
|
|
이치에
닿는 높은 사고의식으로 일을 하라는 의미이다. |
|
|
|
|
|
고사리는
하늘로 뻗어가는 기운의 모습을 하고 있다.그러면서도 손의 모습과 흡사하다. 그래서, |
|
고사리손
즉 일의 시작을 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고사리(高事理)는
높은 이치가 담긴 일을 한다는 뜻이며 고사리의 모양은 하늘 세계로 |
|
|
기운이
피어 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듯이 옛날 유물 또는 벽화에서 보아도 고사리 모양 문형이 많이 그려져 있다. |
이것은
氣의 발생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숙주나물 |
|
|
|
|
|
|
|
|
|
|
숙주나물은
음식이 빨리 변하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. 道를 구하는 마음이 숙주나물처럼 변할까 |
|
염려되어
경각심을 주기 위함입니다. 하늘 마음은 일시적이고 한순간 생각하는 작심에 불과할까 |
|
두려워
경계의 마음을 전해주는 것입니다. |
|
|
|
|
|
|
도(道)는
일생을 바쳐서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수많은 겁생을 통해 구해도 구해지기 힘들 정도의 |
|
인생사의
최고의 가치 기준입니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명 태 |
|
|
|
|
|
|
|
|
|
|
인류
진화를 의미함. (지구 최초의 생명은 바다에서 시작) |
|
|
|
|
|
우리의
영은 하늘에서 왔고 우리의 육체는 땅에서 왔으며 땅에서 온 이 육체는 지구 최초에 기에서 |
|
미생물이
발전, 진화하여 어류, 육류로 진화 인간의 몸을 형성해 나왔음을 알려주는 성현들의 가르침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문 어 |
|
|
|
|
|
|
|
|
|
|
도의
원리를 알려주는 것으로 깨달음 원을 닮은 머리와 문어발 10개는 천기의 흐름의 종류로서 |
|
천(天)
간(干) 10干을 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발에
달린 별 모양의 접착구(빨판)는 하늘의 별들을 의미하며 문어 발을 칼로 오려주는 것은 |
|
기운의
흐름을 표현할 문양이며 구름 연기 같은 기운이 피어나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오징어 |
|
|
|
|
|
|
|
|
|
|
원방각의
원리를 설명한다. (로켓을 의미함) |
|
|
|
|
|
|
살아서
움직이고 먹물을 쏘면서 도망가는 오징어는 마치 로켓발사의 모습이며 발에 붙은 접착구(빨판) |
역시
별을 의미한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탕
(天,地,人) |
|
|
|
|
|
|
|
|
|
3탕을
많이 쓴다. 탕은 기본 되는 三탕 또는 五탕을 두며 삼탕은 天, 地, 人을 의미하고 |
|
|
五탕은
오행(五行)을 의미한다. 옛말에 빈곤함에 제사를 못 모실 경우라 하더라도 삼탕은 놓고 제를 올리라. |
그래도
어려우면 정한수라도 떠올리라 하였다. |
|
|
|
|
|
|
水는
하늘의 생명수이고 우주 근원의 초기 생명이다. |
|
|
|
|
|
탕은
나열의 어, 육, 체로 되는데 우리 육체가 어류에서 진화하여 기류동물로 진화 발전하고, |
|
농법을
이용하고 정착 농경 생활이 발달해 왔다는 간편한 우리의 역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떡 |
|
|
|
|
|
|
|
|
|
|
떡에는
종류가 상당히 많다. 먼저 설 명절의 대표적인 가래떡에 대해서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. |
|
가래떡이란
혼의 성장세월의 의미이며 혼이란 뿌연색을 지니게 되기 때문에 혼백을 모시는 지방을 |
|
쓸때에도
뿌연 문종이에 쓰듯이 이 색깔과 유사한 색깔이 쌀(곡기)이며 |
|
|
|
곡기란(기운을
저장하고 있다)라는 의미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우리는
흔히 허기진다라는 말을 많이 하듯이 허기란 |
|
|
|
|
|
기가
허하다 기가 없다라는 의미인데 기가 비어서 허하면 곡기로 배를 채워야 기운이 되살아 난다. |
|
가래떡은
혼의 세월이 긴 세월을 통해 성장한다는 의미를 전하기 위해 가래떡을 길게 뽑는 것이다. |
|
세월
흐름을 하루 또는 한해를 표현한 것이 가래떡을 썰어서 만든 떡이며 이 떡꾹을 먹게 되면 |
|
나이를
먹는다고 하는데 나이란 세월을 뜻하는 것으로 그 세월은 혼의 성장 세월이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[제사상
차리는 법]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진설의
원칙 |
|
|
|
|
|
|
|
|
|
제사상차림이란
마련된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|
|
|
이를
제수 진설법(祭羞陳設法)이라 한다. |
|
|
|
|
|
|
우리나라에서는
제사 상차림의 양태가 지방마다 가정마다 각기 달라 |
|
|
|
|
일명
‘가가례(家家禮)’라 할 만큼 다양하다. 이처럼 제수 진설이 다양한 것은 |
|
|
|
각종
예서에 나타나는 진설법이 각각 다르다는 데 가장 큰 원인이 있다. |
|
|
|
그러나
상차림의 기본원칙은 공통적이며 관행적으로 지켜지고 있는 격식이 있다. |
|
|
제사
상차림의 기본원칙은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의 좌우를 바꿔놓고 좌우의 균형을 잡는 데에 있다. |
|
제사에서는
신위가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한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(제사지내는
사람의 편에서 보면 오른쪽은 동쪽, 왼쪽은 서쪽이다.)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1.
합설한다 |
|
|
|
|
|
|
|
|
|
제사를
모시는 분의 배우자가 있을 경우 두 분을 함께 모신다. |
|
|
|
|
즉
아버지의 기일에 어머니도 함께 모시 는 것이다 이때는 두 분의 제사를 하나의 제상에 함께 지낸다. |
이를
합설한다고 하고, 상을 따로 차리 면 각설이라고 한다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2.
탕을 놓고 5열로 차린다 |
|
|
|
|
|
|
|
|
대부분의
예서에서는 제수의 진설이 4열로 되어 있으나 현재는 모든 가정에서 탕을 함께 진설하므로 |
5열로
상을 차린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3.
밥과 국의 위치 (반서갱동) |
|
|
|
|
|
|
|
|
밥은
서쪽,국은 동쪽이다. 즉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편에서 보아 밥은 왼쪽, 국은 오른쪽으로 놓는다. |
이는
산사람의 상차림과 반대이다. 숟가락과 젓가락은 중앙에 놓는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4.
남자 조상, 여자 조상의 위치 (고서비동) |
|
|
|
|
|
|
고위
즉 남자 조상은 서쪽, 비위 즉 여자 조상은 동쪽이라는 뜻이다. |
|
|
|
|
고위의
신위, 밥, 국, 술잔을 왼쪽에 놓고, 비위는 오른쪽에 놓는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5.
생선, 고기의 위치 (어동육서) |
|
|
|
|
|
|
|
생선은
동쪽(오른쪽), 고기는 서쪽(왼쪽)에 놓는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(제사자
편에서 보면 오른쪽은 동쪽, 왼쪽은 서쪽이다.)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6.
머리, 꼬리의 위치 (두동미서) |
|
|
|
|
|
|
|
머리와
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높은 방위인 동쪽 즉 오른쪽(제사자의 입장)으로 머리가 가고 |
|
꼬리는
왼쪽으로 가게 놓는다. 그러나 지방에 따라서는 서쪽이 상위라 하여 머리를 서쪽으로 놓는 집도 있다. |
|
|
|
|
|
|
|
|
|
|
|
7.
적의 위치 (적전중앙) |
|
|
|
|
|
|
|
|
적은
상의 중앙인 3열의 가운데에 놓는다. 적은 옛날에는 술을 올릴 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|
|
제수의
중심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찬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 가운데에 놓는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8.
과일의 위치 (홍동백서) |
|
|
|
|
|
|
|
|
붉은
과일은 동쪽,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 하지만 실제 제사에서 |
|
|
반드시
이 원칙대 로 놓는 것은 아니다. [사례편람] 등의 예서에는 보통 앞열의 왼쪽에서부터 |
|
대추,
밤, 배, 감(곶감)의 순서로 놓고 있다. 배와 감은 순서를 바꾸기도 한다. |
|
|
|
앞열의
오른쪽에는 약과, 유과 등의 과자류를 놓는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기타
진설의 원칙 |
|
|
|
|
|
|
|
|
|
좌포우혜(左脯右醯)
: 4열 좌측 끝에는 포(북어, 문어, 전복)를 놓고 우측 끝에는 젓갈을 놓는다. |
|
조율시이(棗栗시梨)
: 조율시이라하여 좌측부터 대추, 밤, 감(곶감), 배(사과)의 순서로 놓는다. |
|
좌면우병(左麵右餠)
: 2열 좌측에 국수를 우측에 떡을 놓는다. |
|
|
|
|
생동숙서(生東熟西)
: 4열 동쪽에 김치를 서쪽에 나물을 놓는다. |
|
|
|
|
우반좌갱(右飯左羹)
: 메는 오른쪽에 갱은 왼쪽에 놓는다. |
|
|
|
|
|
건좌습우(乾左濕右)
: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(제사자
편에서 보면 오른쪽은 동쪽, 왼쪽은 서쪽이다.)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5열
진설법 |
|
|
|
|
|
|
|
|
|
제사상의
진설은 5열 진설법을 기본으로 하는데, 각 열별 배열은 아래와 같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제
1열 : 술잔과 메(밥), 떡국(설), 송편(추석)을 놓는 줄 |
|
|
|
|
|
앞에서
보아 떡국(송편)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. 시접(수저와 대접)은 한분만 모실 때는 |
|
앞에서
보아 왼쪽에 올리며, 두분을 함께 모실 때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제
2열 : 적(炙)과 전(煎)을 놓는 줄 |
|
|
|
|
|
|
|
3적으로
육적(육류 적), 어적(어패류 적), 소적(두부 채소류 적)의 순서로 올린다. |
|
|
|
적
: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. |
|
|
|
|
전
: 재료에 밀가루를 묻혀서 프라이팬에 부친 음식(부침개)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제
3열 : 탕을 놓는 줄 |
|
|
|
|
|
|
|
|
3탕으로
육탕(육류 탕), 소탕(두부 채소류 탕), 어탕(어패류 탕)의 순으로 올리며 |
|
|
5탕으로
할 때는 봉탕(닭, 오리탕), 잡탕 등을 더 올린다. 한 가지 탕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제
4열 : 포와 나물을 놓는 줄 |
|
|
|
|
|
|
|
|
좌측
끝에는 포(북어, 대구, 오징어포)를 쓰며 우측 끝에는 식혜나 수정과를 쓴다. |
|
|
그
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, 숙주나물, 무우나물 순으로 올리고 삼색나물이라 하여 |
|
|
고사리,
도라지, 시금치 나물 등을 쓰기도 하며 김치와 청장(간장), 침채(동치미)는 그 다음에 올린다. |
|
|
|
|
|
|
|
|
|
|
|
제
5열 : 과실을 놓는 줄 |
|
|
|
|
|
|
|
|
좌측부터
대추, 밤, 감(곶감), 배(사과)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|
나무과일,
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.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(유과)를 놓는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