차례상 홍동백서 역사적 근거 없다. | | | | | | | | |
홍동백서, 조율이시, 두동미서, 좌포우혜, 어동육서 …… 차례상을 말할 때 등장하는
이 표현들은 역사적 근거 없다. |
| |
| | | | | | | | | | |
중국 송나라 때의 기록인 | | | | | 주자가
쓴 "주자가례"인데, 유교 예법의 기준이 되는 책입니다. | 이
책에 "홍동백서, 조율이시"같은 규칙은 등장하지 않습니다. |
| | |
조선 후기에 쓰여진 "사례편람"도 마찬가지입니다. | | | 과일을
제일 하단에 놓는다고 쓰여 있지만, 어떤 색의 과일을 놓는지, | 순서가
어떤지는 정해놓지 않았습니다. | | | | | 또
"어"를 오른쪽, "육"을 왼쪽에 놓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, | | 어동육서라는
용어는 발견되지 않습니다. |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 | |
성균관 석전보존회 사무국장은 | | | | | 어동육서,
조율이시, 홍동백서, 이런 말들은 후대에 나왔고, | | | 예서에는
전혀없고, 지금 사용하는 용어는 잘못된 용어다. 라고 한다.
성균관 의례부장은 차례상을 차리는 데 언급되는 엄격한 규칙은 단지 관습으로내려온 것이지 이를 마치 법칙같이 따르면서 고집하는 것은 이제 변해야 할 문화"라고 한다. |
| | | | | | | | | |
주자가례와 사례편람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| "정성"을
다하되 "간소하게"지내라는 것입니다. |
조선시대 성리학자의 책에도 | | | | | | | 퇴계
이황은 "퇴계문집'(1600년)에서 음식의 종류는 옛날과 지금이 | 다르기 때문에 예전과
똑같이 할 수는 없다"고 말했습니다. | | | | |
| |
| |
| | | | | |
율곡 이이는 "격몽요결'(1577년)에서 "제사는 사랑과
공경으로 정성을 다하는 것을 위주로 할 뿐이다" | "가산의
규모",그러니까 집안 형편에 따라 하라고 적었습니다. | | | | |
| |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 | |
이런 용어들이 언론에 처음 등장한 건 1969년이었습니다. | | | | | | 1970년대
이후에는 이처럼 "추석 상차림 안내"라는 제목으로 여러 신문과 방송에서 보도됐습니다. | 이
때문에 홍동백서와 오율이시가 차례상의 규칙인 것으로 잘못 인식된 측면이 있다고 | | 연구자들은
말했습니다. |
| | | | |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
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