친척간의 호칭 | |||
(자기집안 시집 외가집 고모집 처가집 이모집 사돈간) | |||
자기집안 호칭 | |||
호칭 | 특별호칭 | 관계 | |
아버지 | 부친(父親) 가친(家親) | 나를 낳아주신 분 | |
어머니 | 모친(母親) 자친(慈親) | 나를 길러주신 분 | |
할아버지 | 조부(祖父) | 아버지의 아버지 | |
할머니 | 조모(祖母) | 아버지의 어머니 | |
증조 할아버지 | 증조부(曾祖父) 한 할아버지 | 할아버지의 아버지 | |
증조 할머니 | 증조모(曾祖母) 한 할머니 | 할아버지의 어머니 | |
고조 할아버지 | 고조부(高祖父) 높은 할아버지 | 증조할아버지의 아버지 | |
고조 할머니 | 고조모(高祖母) 높은 할머니 | 증조할아버지의 어머니 | |
남편 | 부(夫) 가장(家丈) | 지애비, 아비 | |
아내 | 처(妻) 내자(內子) | 지어미, 자기 부인 | |
아들 | 가아(家兒) 돈아(豚兒) | 내가 낳은 사내아이 | |
며느리 | 자부(子婦) | 아들의 아내 | |
딸 | 여식(女息) | 내가 낳은 여자아이 | |
사위 | 서랑(胥郞) | 딸의 남편 | |
형 | 장형(長兄) 사백(舍伯) 사중(舍仲) | 손위형제 | |
형수 | 큰 형수(長兄嫂) | 형의 부인 | |
아우 | 사제(舍弟) 동생 | 손아래 동생 | |
제수 | 제수(弟嫂) | 아우의 아내 | |
누이 | 가매(家妹) 언니 | 손위 남매 | |
자형 | 자형(姉兄) 매형(妹兄) | 누이의 남편 | |
누이동생 | 매(妹) 가매(家妹) | 손아래 자매 | |
매제 | 매부(妹夫) 매제(妹弟) | 누이동생의 남편 | |
큰 아버지 | 백부(伯父) 중백부(仲伯父) | 아버지의 큰형 | |
큰 어머니 | 백모(伯母) 중백모(仲伯母) | 아버지의 형수 | |
작은 아버지 | 숙부(叔父) 계부(季父) 삼촌(三寸) | 아버지의 동생 | |
작은 어머니 | 숙모(叔母) | 아버지의 제수 | |
당숙 | 당숙(堂叔) 종숙(從叔) | 아버지의 사촌형제 | |
당숙모 | 당숙모(堂叔母) 종숙모(從叔母) | 아버지 사촌의 부인 | |
재당숙 | 재당숙(再堂叔) 재종숙(再從叔) | 아버지의 육촌의 형제 | |
재당숙모 | 재당숙모 재종숙모 | 아버지 육촌의 부인 | |
종조부 | 종조부(從祖父) | 할아버지의 형제 | |
종조모 | 종조모(從祖母) | 할아버지의 형수, 제수 | |
종형제 | 사촌형제(四寸兄弟) | 아버지의 조카 | |
종수 | 사촌형수, 제수 |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| |
재종형제 | 육촌형제(六寸兄弟) | 당숙의 아들 | |
재종수 | 육촌형수, 제수 | 당숙의 며느리 | |
조카 | 질(姪) 조카딸(조카사위) | 형, 아우의 아들 딸 | |
조카며느리 | 질부(姪婦) | 조카의 아내 | |
당질 | 당질(堂姪) | 사촌의 아들 | |
당질부 | 당질부(堂姪婦) | 사촌아들의 아내 | |
종손 | 종손(從孫) | 조카의 아들 | |
재종손 | 재종손(再從孫) | 육촌의 손자 | |
시집의 호칭 | |||
호칭 | 특별호칭 | 관계 | |
시아버님 | 시부(媤父) 시아버지 | 남편의 아버지 | |
시어머니 | 시모(媤母) 시어머니 | 남편의 어머니 | |
시숙 | 시숙(媤叔) 서방님 | 남편의 형, 시아주버니 | |
동세 | 동시(同媤) 형님 | 남편의 형수 | |
동서 | 동서(同胥) | 남편형제의 아내 | |
시동생 | 기혼은 서방님, 미혼은 도련님 | 남편의 아우 | |
시누이 | 시매(媤妹), 기혼손위는 형님, 손아래는 아우, 미혼은 아가씨 | 남편의 자매, 아가씨 | |
외가집 호칭 | |||
호칭 | 특별호칭 | 관계 | |
외할아버지 | 외조부(外祖父) | 어머니의 아버지 | |
외할머니 | 외조모(外祖母) | 어머니의 어머니 | |
외숙 | 외숙(外叔) 외삼촌(外三寸) | 어머니의 남자형제 | |
외숙모 | 외숙모(外叔母) | 외삼촌의 부인 | |
외사촌 | 외종(外從)형제 | 외삼촌의 아들 | |
외종수 | 외종수(外從嫂) | 외삼촌의 며느리 | |
외당질 | 외당질(外堂姪) 외당질여 | 외사촌의 아들 딸 | |
외당질부 | 외당질부 | 외사촌의 며느리 | |
진외당숙 | 진외당숙(陳外堂叔) | 아버지의 외사촌 | |
고모집안의 호칭 | |||
호칭 | 특별호칭 | 관계 | |
고모 | 고모(姑母) | 아버지의 여자 형제 | |
고모부 | 고모부(姑母夫) 고숙(姑叔) | 고모의 남편 | |
당고모 | 당고모(堂姑母) | 아버지의 사촌누이 | |
재당고모 | 재당고모(再堂姑母) | 아버지의 육촌누이 | |
내종형제 | 내종사촌(內從四寸) | 고모의 아들 딸 | |
대고모 | 대고모(大姑母) 왕고모 | 아버지의 고모 | |
처가집 호칭 | |||
호칭 | 특별호칭 | 관계 | |
장인 | 장인(丈人) 빙장 | 아내의 아버지 | |
장모 | 장모(丈母) 빙모 | 아내의 어머니 | |
처백부 | 처백부(妻伯父) | 아내의 큰아버지 | |
처백모 | 처백모(妻伯母) | 아내의 큰어머니 | |
처숙부 | 처숙부(妻叔父) | 아내의 작은아버지 | |
처숙모 | 처숙모(妻叔母) | 아내의 작은어머니 | |
처남 | 처남(妻男) | 아내의 남자 형제 | |
처남댁 | 처남댁(妻男宅) | 처남의 부인 | |
처조카 | 처질(妻姪) 처조카딸 | 처남의 아들 딸 | |
처조카며느리 | 처질부(妻姪婦) | 처 조카의 아내 | |
처형 | 처형(妻兄) | 아내의 언니 | |
처제 | 처제(妻弟) | 아내의 동생 | |
동서 | 동서(同胥) | 아내형제의 남편 | |
이모집 호칭 | |||
호칭 | 특별호칭 | 관계 | |
이모 | 이모(姨母) | 어머니의 여자형제 | |
이모부 | 이모부(姨母夫) 이숙(姨叔) | 이모의 남편 | |
이종 | 이종사촌(姨從四寸) | 이모의 아들 | |
이종수 | 이종수(姨從嫂) | 이종사촌의 부인이종 | |
이질 | 이질(姨姪) 이질여(姨姪女) | 이종의 아들 딸 | |
이질부 | 이질부(姨姪婦) | 이질의 아내 | |
사돈간의 호칭 | |||
호칭 | 특별호칭과 관계 | ||
사돈 | 바깥사돈(아들과 며느리 양가 아버지의 호칭) | ||
사부인 | 안사돈(아들과 며느리 양가 어머니의 호칭) | ||
사장 | (사돈의 아버지 또는 안사돈이 바깥사돈에 대한 존칭) | ||
노사장 | (사돈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) | ||
노사부인 | (안사돈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) | ||
사돈도령 | (안사돈이 사돈의 미혼 아들에 대한 호칭) | ||
사돈댁 색시 | (사돈의 미혼한 딸, 사돈새아씨의 약칭) | ||
親族間의 呼稱 | |||
문 1. 同姓同本간에 行列이 同行이면 상대방을 어떻게 부르는 것이 맞는지? | |||
답. 年齡이 많아지면 아우 行列이라도 너무 下待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며, 이름을 위에 붙여서 | |||
呼稱하는 것은 타인에게 指稱할 때는 필요하나 직접 面對했을 때는 필요치 않다. | |||
문 2. 妻男에 대한 적절한 呼稱은? | |||
답. 妻男에 대해서는 자기 처의 姉妹關係에 구애됨이 없이 연령에 따라 待接하고 | |||
나이 어린 妻男이 妻의 위라 할지라도 妻男으로 呼稱할뿐이지 형님이라고 하지 않는다. | |||
문 3. 자기의 妻도 直系에 들어가는지? 그리고 누님의 남편은 어느 것이 맞는지? | |||
답. 當然히 들어간다. 그리고 누님의 男便은 姉兄이 맞다. | |||
문 4. 자기보다 行列이 높은 査頓의 稱號는 무엇인가? | |||
답. '査丈(사장) 어른'이다. | |||
문 5. 손위 시누이의 男便에 대한 呼稱은? | |||
답. 손위 시누이의 男便이라도 'ㅇ서방'이라고 하고, 당사자 앞에서 직접 부를 때는 '님'을 붙여 | |||
'ㅇ서방님'이라고 부르면 된다. 흔히들 자기의 자녀가 부르는 姑母夫라고 부르는 것은 바른 | |||
'呼稱이 아니다. 특히 자기의 자녀에게 말할 때는 '너의 姑母夫'라고 해야 한다. | |||
문 6. 여동생의 男便에 대한 적절한 呼稱은? | |||
답. 사위에게 있어 妻家의 어른은 直系尊屬일 뿐이고 기타는 일반 사회적 관계이다. 원칙적으로 | |||
配偶者의 친척과 나의 관계는 配偶者의 관계로 설정된다. 손아래 妹夫와 손위 妻男은 남매간 | |||
이지만 처가의 어른은 直系尊屬일 뿐이라는 前提로 그냥 친구이다. 나이 차가 두 살이면 '자네', | |||
'ㅇ서방'이 호칭이고 '하게'의 말씨를 쓰면 된다. | |||
문 7. 본인이 다섯째 사위임에도 넷째 사위보다 다섯살이 많은 경우 넷째 사위에 대한 적절한 대접은? | |||
답. 위 '6 번'답에서와 같이 처남이나 처형, 처제의 남편인 同壻들과는 아내와의 관계에 따라서 | |||
'형님', '동생'하지 않고 나이에 따라 待接한다. 위에서와 같이 다섯살 어린 손위 동서와는 | |||
당연히 벗을 타서 친구 같이 지내야 한다. | |||
문 8. 고종사촌(姑從四寸) 동생의 丈人에 대한 칭호는? | |||
답. 결국 査頓間이며 자기보다 行列이 높으니 '査丈어른'이라 하면된다. | |||
문 9. 아버지의 兄弟間의 呼稱法에 대하여? | |||
답. 가장 큰 형님만이 큰아버지의 呼稱으로 불리고, 그 동생들은 둘째아버지, 셋째아버지, | |||
넷째아버지로 부르고, 막내만이 작은아버지로 불러야 한다. | |||
문 10. 妻男의 아내를 '妻嫂' 또는 '妻男의 宅'이라고들 하는데 어느 것이 맞는지? | |||
답. '妻嫂'라는 稱號는 없고 妻男의 宅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. | |||
문 11. 兄弟 姉妹의 配偶者 稱號法? | |||
답. .아주머니, 형수님 : 시동생이 형의 아내를 부를 때 | |||
.아주미, 아지미 : 집안 어른에게 형수를 말할 때 | |||
.형수(兄嫂)씨 : 남에게 자기의 형수를 말할 때 | |||
.제수(弟嫂)씨, 수씨 : 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대 | |||
.제수 : 집안 어른에게 제수를 말할 때 | |||
.언니 : 시누이가 오라비의 아내를 부를 때 | |||
.올케, 새댁, 자네 : 시누이가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| |||
.ㅇㅇ댁 : 집안 어른에게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| |||
.매부(妹夫) :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자매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| |||
.자형( 兄), 매형(妹兄) :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| |||
.ㅇ서방, 자네 : 누이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| |||
.매제(妹弟) : 누이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| |||
.형부(兄夫) : 여동생이 여형의 남편을 부를 때와 말할 때 | |||
.ㅇ서방 : 여형이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| |||
문 15. 妻男의 며느리에 대한 呼稱은? | |||
답. 妻男의 며느리는 자기에게는 妻姪婦로서 아래 항렬이므로 恭待나 尊待는 하지않는다. | |||
연령적으로 차이가 심할 때는 下待는 하지 않고, '하소'체로 할 수 있다. 또한 누이의 | |||
며느리는 甥姪婦로서 妻姪婦와 경우가 같다. | |||
문 16. 妻家 家族에 대한 稱號는? | |||
답. .장인 어른, 장모님 : 아내의 부모를 부를 때 | |||
.빙장, 빙모 : 아내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 | |||
.처남댁 ㅇㅇ어머님 : 처남댁을 부를 때 | |||
.처형, ㅇㅇ어머님 : 처형을 부를 때 | |||
.처제, ㅇㅇ어머님 : 처제를 부를 때 | |||
.처남, 자네 : 손아래 처남을 부를 때 | |||
.기타 처가 가족의 呼稱은 사회적인 呼稱으로 한다. | |||
아내의 直系尊屬과 婦人들을 제외한 남자는 사회의 사귐이기 때문이다. | |||
문 17. 요즘 형님이라는 呼稱이 많이 쓰이고 있는데 정확한 사용법은? | |||
답. (1) 妻男에 대한 호칭에는 손위나 손아래에 따른 별다른 呼稱이 없고 연령이 많을 때만 | |||
呼兄하는 것이다. | |||
(2) 손아래 妹弟에게 손위 妻男이 부르는 呼稱은 '妹弟', '妹夫'이다. | |||
(3) 親同壻 사이는 서로 同壻로 부르며 맏동서 등 차례에 따라 부르는 것도 좋다. 가장 친한 | |||
친구간과 같다. | |||
(4) 同壻間은 3항과 같은 사이이다. 同壻間은 친구로 보고 친구처럼 지내는 것이다. | |||
문 18. 어머니의 姓氏를 남에게 말할 때와 자기의 姓을 남에게 말할 때와 어떻게 다른가? | |||
답. 母親의 姓을 남에게 말할 때 어느 姓氏(성씨)라고 하고 자기의 姓을 남에게 말할 때는 | |||
무슨ㅇ家라 한다. 그러나 자기 門中 姓氏를 말할 때는 '씨'자를 써야한다. | |||
문 19. 男子 同壻間에도 妻의 兄弟 序列에 따라 형님, 동생할 수 있는지? | |||
답. 하지 않는다. 다만 親하게 지내며 年差가 높으면 敬稱을 써야 한다. | |||
문 20. 여동생의 남편이 나보다 두 살 아래인 경우 呼稱은? | |||
답. '妹弟', '妹夫'라고 하면 된다. | |||
문 21. 直系尊屬과 直系卑屬에 대한 설명은? | |||
ㅇ. 直系尊屬 : 祖上으로부터 直線的으로 계속하여 자기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으로 父母, | |||
祖父母, 曾祖父母, 高祖父母이다. | |||
ㅇ. 直系卑屬 : 自己로부터 直線的으로 내려가서 後裔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으로 아들, 딸, | |||
孫子, 曾孫, 玄孫 등이다. 그리고 할머니의 둘째 아들의 손으로 그 할머니는 直系가 된다. | |||
아버지, 어머니는 나의 할머니의 直系이다. | |||
直系는 자손, 자기, 父母, 祖父이며, 傍系는 三寸, 四寸 등으로 계통이 갈라져 생기는 혈통이다. | |||
문 22. 누이동생의 男便에 대한 呼稱은 ? | |||
답 . 누이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는 '妹弟',라하고 누이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는 성씨를 | |||
넣어 'ㅇ서방', 또는 '자네'라고 한다. | |||
문 23. 丈人이 사위를 부르거나 찾을 때 적절한 呼稱은? | |||
답.성씨를 앞에 붙여 'ㅇ서방' 또는 이름을 부를 수가 있다. | |||
문 24. 자기의 남편을 다른 사람에게 呼稱할 때 敬語를 써야하는지? | |||
답. 敬語를 써야한다. 家門을 대표하는 사회적 身分으로 스스로 尊敬받아야할 존재이며, 자녀 | |||
에게는 다시없는 귀한 분으로 그 남편이 존경받아야 그 아내도 존경되며, 남편도 그 아내를 | |||
呼稱할 때 敬稱을 써야함은 理致가 같다. | |||
문. 25. 시동생이 장가를 갔는데 부를 호칭과, 남편의 형님에 대한 적정한 呼稱은? | |||
답. 시동생이 장가를 갔을 때는 '서방님', 남편의 형님을 부를 때는 '아주버님'이라고 하고 남편의 | |||
형님을 남에게 말할 때는 '시숙(媤叔)'이라한다. | |||
문 26. 사촌 형님을 제 아들이 무엇이라 부르며, 제 아내의 姨母夫를 제가 무엇이라 呼稱하는지? | |||
답. '아저씨'나 '堂叔'이라 부르고, 아내의 姨母夫는 '妻姨母夫'이다. | |||
문. 27 친구의 子婦에게 대한 말씨를 알고 싶다. | |||
답. 친구의 아들은 말을 놓을 수가 있으나 그 자부는 보통 사이가 아니면 아랫사람 이라도 | |||
대접해야 하는 상대에게 쓰는 말씨인 보통 말씨(하게)를 쓰면 된다. | |||
문 28. 시아버님께 며느리의 自稱과, 남편을 稱할 때 적절한 呼稱은? | |||
답. 自稱은 '저요', 또는 '몇째예요', 자식이 있으면 'ㅇㅇ에미'라 하면 되고, 남편을 指稱할 때는 | |||
사랑 'ㅇㅇ애비'라고 칭한다. | |||
문 29. 친구가 婚姻한 후 그 부인에게 어떻게 불러야 되는지? | |||
답. 친구의 婦人을 그대로 '부인'이라 부르는데 젊은이 情緖로 보아 '아주머니'라든지, 친구도 | |||
나이가 많으면서 형.아우를 가리는 사이면 '형수'라는 칭호도 무방하다. | |||
문 30. 78세된 아저씨 항렬을 가진 사람으로서 80세된 조카 항렬을 가진 분에게 적당한 稱號는? | |||
답. 年甲 사이인데 친해지면 '아저씨' , '조카'도 좋겠지만, 사회적 체면이 있는 사이면 서로 | |||
'族長'이라 하면 좋겠다. | |||
문 31. 子婦를 본 후 딸의 남편(즉 사위)에 대한 呼稱은? | |||
답. 子婦는 아들의 아내이고, 사위는 딸의 남편이니 남매 사이이다. 子婦는 남편 형제에게 | |||
서방님이라 呼稱하니 자연히 시누이의 남편도 성을 붙여 'ㅇ서방님'이라 하면 된다. | |||
<참고 부표> | |||
◎대화(對話)나 서찰(書札)에 쓰이는 말 | |||
∇ 안행(雁行)이 몇분이시오 ->형제가 몇 분이시오. | |||
∇ 春秋(춘추)가 얼마입니까? ->연세가 얼마이십니까? | |||
∇ 시하(侍下)이십니까? ->부모 슬하이십니까? | |||
.永感下(영감하)입니다. ->부모가 안 계실 때 | |||
.嚴侍下(엄시하)입니다. ->아버지만 계실 때 | |||
.慈侍下(자시하)입니다. ->어머니만 계실 때 | |||
.重侍下(중시하)입니다. ->조부모가 살아 계실 때 | |||
.兩堂(양당)이 俱存(구존)하십니다 ->부모가 다 계실 때 | |||
∇ 윗 어른께 자기를 낮추어 말할 때: 저, 제, 소생, 졸자, 저희들 | |||
∇ 손아래 사람에게 자신을 말할 때: 나, 우리들, 내, 본인 | |||
∇ 노형(老兄): 자기와 나이 비슷한 사람들을 부를 때 | |||
∇ 존장(尊長), 노인장(老人丈)어른신네: 왕노를 공손히 부를 때 | |||
∇ 夫婦는 一身이니 無寸이다. | |||
∇ 父子女, 母子女는 一寸間이다. | |||
∇ 親兄弟姉妹는 서로 三寸間, 祖孫間도 같다. | |||
∇ 백부, 백모, 중백부, 중백모, 숙부, 숙모와 나는 三寸間, 叔姪間 | |||
∇ 從傍(종방)間 四寸間(삼촌의 아들 딸): 할아버지의 손자 | |||
∇ 從兄, 從弟: 사촌형제간 | |||
∇ 종백부모: 종숙부모, 당숙부, 오촌아저씨와 아저미 | |||
∇ 종조부모, 대고모(大姑母): 사촌의 할아버지 즉 할아버지의 형제 | |||
∇ 재종형제(再從兄弟): 육촌형제 한증조부의 손자 | |||
∇ 삼종현제: 팔촌간 고조이하 복을 입어줌 | |||
∇ 사종조부모: 십촌조부모 육대 조부모의 자손 | |||
∇ 십일촌 부터는 족형(族兄), 족숙(族叔) 족족하라 부름 | |||
∇ 同性同本은 종(宗)씨 族親 宗親이라 함 | |||
∇ 姑從四寸(고종사촌): 고모의 아들 딸 | |||
∇ 內外從間(내외종간): 고모의 아들 딸과 나 사이, 외삼촌의 아들 딸과 나 사이 | |||
∇ 姨母(이모): 어머니의 여형제 | |||
∇ 姨從四寸(이종사촌): 이모의 아들 딸 | |||
∇ 외삼촌: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(內舅(구)) | |||
∇ 외사촌: 외삼촌의 아들 딸. 내생(內甥). 생질 | |||
∇ 家親, 嚴親, 家君: 자기부친 | |||
∇ 先親, 先考: 작고한 부친 | |||
∇ 형님: 손아래 동시가 손위 동시를 부를 때 | |||
∇ 새댁: 손위 동시가 손아래 동시를 부를 때 | |||
∇ 同媤間(동시간): 며느리끼리를 남에게 말할 때 | |||
∇ 同壻間(동서간): 사위끼리 | |||
∇ 올케: 오빠의 아내 | |||
∇ 동생의 댁: 동상의 댁 | |||
∇ 도련님, 새서방님: 시동생(삼촌이라 부르면 안됨) | |||
∇ 사장(査丈)어른: 형제의 장인과 형수.제수의 부친 | |||
∇ 사형(査兄): 형제의 처남, 처제 또는 사가(査家)의 같은 항렬끼리 | |||
∇ 사하생(査下生): 사돈의 아들, 딸(서울에서는 사돈총각, 영남에서는 사이상) | |||
∇ 선고장(先考丈): 작고한 남의 부친. 선장(先丈) | |||
∇ 선대부인(先大夫人): 작고한 남의 모친 | |||
∇ 阮丈(완장): 남의 삼촌 | |||
∇ 咸氏(함씨): 남의 족하 | |||
∇ 陣外家(진외가): 아버지의 외가 | |||
∇ 媤外家(시외가): 남편의 외가 | |||
∇ 夫君(부군): 남의 남편 | |||
∇ 女史: 사회 출입을 하는 夫人 | |||
∇ 妹夫(매부): 여동생의 남편 | |||
∇ 翁壻間(옹서간): 장인과 사위 사이 | |||
∇ 聘丈(빙장)어른, 聘母(빙모)님: 장인, 장모 편지 쓸 때는 外舅(외구) | |||
∇ 華婚(화혼): 남의 결혼을 축하할 때 | |||
∇ 壽宴, 壽筵(수연): 회갑을 축하할 때 | |||
∇ 伉儷(항려): 부부, 짝, | |||
∇ 偏母膝下(편모슬하): 홀어머니를 뫼신 몸 | |||
|
|||
|
|||
|
|||
|
|||
|
|||
|
|||
|
|||
|
|||
|
|||
'문화 > 한국문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군자의 도는 부부생활에서 (0) | 2017.01.31 |
---|---|
한가위의 유래 (0) | 2017.01.31 |
잔치와 멀어진 결혼식 (0) | 2017.01.27 |
사돈 이라는 말의 유래 (0) | 2017.01.27 |
나이별 이칭 (0) | 2017.0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