품계별
동반/서반/종친/의빈/외명부의 가자 |
|
구분 |
품계 |
가 자 |
|
문관 |
무관 |
종친 |
의빈 |
외명부(문무관) |
|
|
|
정1품 |
대광(大匡)보국숭록대부 |
현록대부 |
수록대부 |
|
|
|
상(上)보국숭록대부 |
(顯祿大夫) |
(綏祿大夫) |
정경부인 |
|
|
보국(輔國)숭록대부 |
흥록대부 |
성록대부 |
(貞敬夫人) |
|
|
|
(興祿大夫) |
(成祿大夫 |
|
|
당 |
종1품 |
숭록대부(崇祿大夫) |
소덕(昭德)대부 |
광덕(光德)대부 |
정경부인 |
|
상 |
숭정대부(崇政大夫) |
가덕(嘉德)대부 |
숭덕(崇德)대부 |
(貞敬夫人) |
|
관 |
정2품 |
정헌대부(正憲大夫) |
숭헌(崇憲)대부 |
봉헌(奉憲)대부 |
정부인 |
|
|
자헌대부(資憲大夫) |
승헌(承憲)대부 |
통헌(通憲)대부 |
(貞夫人) |
|
|
종2품 |
가의대부(嘉義大夫) |
중의(中義)대부 |
자의(資義)대부 |
정부인 |
|
|
가선대부(嘉善大夫) |
정의(正義)대부 |
순의(順義)대부 |
(貞夫人) |
|
|
정3품상 |
통정대부 |
절충장군 |
명선대부 |
봉순대부 |
|
|
|
(通政大夫 |
(折衝將軍) |
(明善大夫) |
(奉順大夫) |
숙부인(淑夫人) |
|
|
정3품하 |
통훈대부 |
어모장군 |
창선대부 |
정순대부 |
숙인(淑人) |
|
|
(通訓大夫) |
(禦侮將軍) |
(彰善大夫) |
(正順大夫) |
|
|
종3품 |
중직(中直)대부 |
건공(建功)장군 |
보신(保信)대부 |
명신(明信)대부 |
숙인(淑人) |
|
|
중훈(中訓)대부 |
보공(保功)장군 |
자신(資信)대부 |
돈신(敦信)대부 |
|
|
정4품 |
봉정(奉正)대부 |
진위(振威)장군 |
선휘(宣徽)대부 |
- |
영인(令人) |
|
당 |
봉열(奉烈)대부 |
소위(昭威)장군 |
광휘(廣徽)대부 |
|
하 |
종4품 |
조산(朝散)대부 |
정략(定略)장군 |
봉성(奉成)대부 |
- |
영인(令人) |
|
관 |
조봉(朝奉)대부 |
선략(宣略)장군 |
광성(光成)대부 |
|
|
정5품 |
통덕랑 |
과의교위 |
통직랑 |
- |
공인(恭人) |
|
|
(通德郞) |
(果毅校尉) |
(通直郞) |
|
|
통선랑 |
충의교위 |
병직랑 |
|
|
(通善郞) |
(忠毅校尉) |
(秉直郞) |
|
|
종5품 |
봉직랑(奉直郞) |
현신(顯信)교위 |
근절랑(謹節郞) |
- |
공인(恭人) |
|
|
봉훈랑(奉訓郞) |
창신(彰信)교위 |
신절랑(愼節郞 |
|
|
정6품 |
승의랑(承議郞) |
돈용(敦勇)교위 |
집순랑(執順郞) |
- |
의인(宜人) |
|
|
승훈랑(承訓郞) |
진용(進勇)교위 |
종순랑(從順郞 |
|
|
종6품 |
선교랑(宣敎郞) |
여절(勵節)교위 |
- |
- |
의인(宜人) |
|
|
선무랑(宣務郞 |
병절(秉節)교위 |
|
|
정7품 |
무공랑 |
적순부위 |
- |
- |
안인(安人) |
|
(務功郞) |
(迪順副尉) |
|
종7품 |
계공랑 |
분순부위 |
- |
- |
안인(安人) |
|
(啓功郞) |
(奮順副尉) |
|
정8품 |
통사랑 |
승의부위 |
- |
- |
단인(端人) |
|
(通仕郞) |
(承義副尉) |
|
종8품 |
승사랑 |
수의부위 |
- |
- |
단인(端人) |
|
(承仕郞) |
(修義副尉) |
|
정9품 |
종사랑 |
효력부위 |
- |
- |
유인(孺人) |
|
(從仕郞) |
(효力副尉) |
|
종9품 |
장사랑 |
전력부위 |
- |
- |
유인(孺人) |
|
(將仕郞) |
(展力副尉) |
|
|
|
|
이러한 품계(品階)와 가자(加資)는 관직뿐만 아니라 왕실의 종친(宗親), 의빈(儀賓=부마 등 왕족과
통혼한 사람) 및 외명부(外命婦=문무관의 처)에게도 부여되었다. |
* 제사 지낼 때 쓰는 지방(紙榜)에 벼슬을 하지 않은 남자를 ‘學生(학생)’이라 쓰고, 그
부인을 ‘孺人(유인)’이라 쓰는 것은 정/종9품직 외명부의 가자 즉 관직의 맨 마지막 직위의 외명부 가자를 부여한 것이다. |
朝鮮朝 品階 - 文武官 宗親 儀賓 雜班 土班 |
品階 |
文班階 |
武班階 |
宗親階 |
儀賓階 |
雜文班 |
雜武班 |
土文班 |
土武班 |
官 |
(東班階) |
(西班階) |
正一品 |
大匡輔國崇祿大夫 |
大匡輔國崇祿大夫 |
顯祿大夫 |
유祿大夫 |
|
|
|
|
|
|
輔國崇祿大夫 |
輔國崇祿大夫 |
興祿大夫 |
成祿大夫 |
|
從一品 |
崇祿大夫 |
崇祿大夫 |
昭德大夫 |
光德大夫 |
|
|
崇政大夫 |
崇政大夫 |
嘉德大夫 |
崇德大夫 |
堂 |
正二品 |
正憲大夫 |
正憲大夫 |
崇憲大夫 |
奉憲大夫 |
|
|
資憲大夫 |
資憲大夫 |
承憲大夫 |
通憲大夫 |
上 |
從二品 |
嘉靖大夫 |
嘉靖大夫 |
中義大夫 |
資義大夫 |
|
|
嘉善大夫 |
嘉善大夫 |
正義大夫 |
順義大夫 |
官 |
正三品 |
通政大夫 |
折衝將軍 |
明善大夫 |
奉順大夫 |
|
|
通訓大夫 |
禦侮將軍 |
彰善大夫 |
正順大夫 |
|
|
|
|
堂 |
從三品 |
中直大夫 |
建功將軍 |
保信大夫 |
明信大夫 |
|
|
|
|
|
|
中訓大夫 |
保功將軍 |
資信大夫 |
敦信大夫 |
|
|
|
|
下 |
正四品 |
奉正大夫 |
振威將軍 |
宣徽大夫 |
|
|
|
|
|
|
|
奉列大夫 |
昭威將軍 |
廣徽大夫 |
|
|
|
|
|
官 |
從四品 |
朝散大夫 |
定略將軍 |
奉成大夫 |
|
|
|
|
|
|
|
朝奉大夫 |
宣略將軍 |
光成大夫 |
|
|
|
|
|
|
正五品 |
通德郞 |
果毅校尉 |
通直郞 |
|
|
|
通議郞 |
健忠隊尉 |
|
|
通善郞 |
忠毅校尉 |
秉直郞 |
|
|
|
|
|
參 |
從五品 |
奉直郞 |
顯信校尉 |
謹節郞 |
|
|
|
奉議郞 |
勵忠隊尉 |
|
|
奉訓郞 |
彰信校尉 |
愼節郞 |
|
|
|
|
|
上 |
正六品 |
承議郞 |
敦勇校尉 |
執順郞 |
|
供職郞 |
奉任校尉 |
宣職郞 |
健信隊尉 |
|
|
承訓郞 |
進勇校尉 |
從順郞 |
|
勵職郞 |
修任校尉 |
|
|
官 |
從六品 |
宣敎郞 |
勵節校尉 |
|
|
勤任郞 |
顯攻校尉 |
奉職郞 |
勵信隊尉 |
|
|
宣務郞 |
秉節校尉 |
|
|
효任郞 |
迪攻校尉 |
|
|
|
正七品 |
務功郞 |
迪順副尉 |
|
|
奉務郞 |
騰勇副尉 |
熙功郞 |
敦義都尉 |
參 |
從七品 |
啓功郞 |
奮順副尉 |
承務郞 |
宣勇副尉 |
注功郞 |
守義都尉 |
|
正八品 |
通仕郞 |
承義副尉 |
勉功郞 |
猛健副尉 |
供務郞 |
奮勇都尉 |
下 |
從八品 |
承仕郞 |
修義副尉 |
赴功郞 |
壯健副尉 |
直務郞 |
효勇都尉 |
|
正九品 |
從仕郞 |
效力副尉 |
服勤郞 |
致力副尉 |
啓仕郞 |
勵力都尉 |
官 |
從九品 |
將仕郞 |
展力副尉 |
展勤郞 |
勤力副尉 |
試仕郞 |
彈力都尉 |
|
* 문반과 무반계 정1품에 상보국숭록대부, 종2품에 가의대부, 종친계 종1품에 유덕대부, 의덕대부, 종2품에
소의대부, 의빈계 종1품에 정덕대부, 명덕대부 등의 명칭 변경이나 품계 설치가 있었음. |
朝鮮朝 內外命婦 封爵名 |
|
|
|
|
品階 |
內命婦 |
世子宮 |
外命婦 |
|
|
|
|
王室 |
宗親妻 |
文武官妻 |
|
|
|
|
無品 |
|
|
公主 |
|
|
|
|
|
|
翁主 |
|
|
|
|
正一品 |
嬪 |
|
府夫人 |
府夫人 |
|
|
|
|
|
|
|
|
|
郡夫人 |
貞敬夫人 |
|
|
|
|
從一品 |
貴人 |
|
奉保夫人 |
郡夫人 |
貞敬夫人 |
|
|
|
|
正二品 |
昭義 |
|
郡主 |
縣夫人 |
貞夫人 |
|
|
|
|
從二品 |
淑義 |
良제 |
|
縣夫人 |
貞夫人 |
|
|
|
|
正三品 |
|
|
縣主 |
愼夫人 |
淑夫人 |
|
|
|
|
|
昭容 |
|
|
愼人 |
淑人 |
|
|
|
|
從三品 |
淑容 |
良媛 |
愼人 |
淑人 |
|
|
|
|
正四品 |
昭媛 |
|
惠人 |
令人 |
|
|
|
|
從四品 |
淑媛 |
承徽 |
惠人 |
令人 |
|
|
|
|
正五品 |
尙宮 |
|
溫人 |
恭人 |
|
|
|
|
|
尙儀 |
|
|
|
|
|
|
|
從五品 |
尙腹 |
昭訓 |
溫人 |
恭人 |
|
|
|
|
|
尙食 |
|
|
|
|
|
|
|
正六品 |
尙寢 |
|
順人 |
宜人 |
|
|
|
|
|
尙功 |
|
|
|
|
|
|
|
從六品 |
尙正 |
守閨 |
順人 |
宜人 |
|
|
|
|
|
尙記 |
守則 |
|
|
|
|
|
|
正七品 |
典賓 |
|
|
|
安人 |
|
|
|
|
|
典衣 |
|
|
|
|
|
|
|
典膳 |
|
|
|
|
|
|
從七品 |
典說 |
掌饌 |
安人 |
|
|
|
|
|
典製 |
掌正 |
|
|
|
|
|
|
典言 |
|
|
|
|
|
|
正八品 |
典贊 |
|
端人 |
|
|
|
|
|
典飾 |
|
|
|
|
|
|
|
典藥 |
|
|
|
|
|
|
從八品 |
典燈 |
掌書 |
端人 |
|
|
|
|
|
典彩 |
掌縫 |
|
|
|
|
|
|
典正 |
|
|
|
|
|
|
正九品 |
奏宮 |
|
孺人 |
|
|
|
|
|
奏商 |
|
|
|
|
|
|
|
奏角 |
|
|
|
|
|
|
從九品 |
奏變徵 |
掌藏 |
孺人 |
|
|
|
|
|
奏徵 |
掌食 |
|
|
|
|
|
|
奏羽 |
掌醫 |
|
|
|
|
|
|
奏變宮 |
|
|
|
|
|
|
왕의 본처가 낳은 대군의 처를, 군부인(정1품)은 왕의 첩이 낳은 군의 처를, 군부인(종1품) 이하는 왕실 종친의
처를 가리킴. 또는 그들에게 주는 봉작명. |
* 문무관처의 정경부인 이하는 각급 문무관 관리의 처를 가리킴. 또는 그들에게 주는 봉작명.
고종2년(1865년)부터는 종6품 의인 이상의 문무관처 봉작명을 종친처에게도 주었음. |
* 내명부의 종4품 이상 품계를 가진 부인은 직무가 없었음. 정5품 상궁 이하는 각자 맡은 바 직무를 가짐(한자로
유추할 것). |
|
|
|
|
|
|
|
|
|
|